NHN 이 드디어 첫눈을 인수하였네요!
기술기반의 검색보다는 UCC(User Created Contents) 영역 및 Human Search (키워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보강) 을 통하여,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검색을 지원하여, 사용자의 방향을 불러 일으켰지만, 첫눈을 통한 기술개발력 및 검색 알고리즘 기술의 강화를 위한 노력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생각하면, 인수가 타당성이 높아보이지만 달리 생각하면, 네이버가 자체 보유한 개발인력을 고려한다면, 다소 의아스럽기도 합니다.
인력 부문의 볼륨사이즈가 큰 네이버에서 검색엔진 자체의 성능 향상을 위한 개발 투자를 등한시 하지는 않았을텐데요…
네이버가 일본 검색 시장에 진입하고, 그 후 서비스를 중단 한것은 과연 네이버 검색의 한계 였을까요? 첫눈을 통한 일본검색으로의 재 진출은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이러한 부문들에 대한 성급한 결론은 무리일 것 같습니다.
과연 시장은 어떠한 평가를 하고 있을까요?
관련기사
국내 1위 검색 포털 네이버를 운영하는 NHN(대표 김범수·최휘영 http://www.nhncorp.com)이 해외검색시장 진출 및 검색 기술력 강화를 위해 토종 검색 포털 첫눈(대표 장병규 http://www.1noon. com)을 인수했다.
이번 인수를 계기로 NHN은 이르면 내년 초 일본 시장에서 검색 베타 서비스를 개시하는 등 게임에 이어 해외 검색 서비스를 본격화한다.
29일 NHN은 공시를 통해 첫눈의 지분 100%(총 200만주, 액면가 500원)를 350억 원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NHN의 첫눈 인수는 국내 검색 포털 1위 기업과 자체 검색 기술력 및 우수 개발 인력을 보유한 벤처기업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올초부터 인터넷 업계의 핵심 이슈로 부각돼 왔다. 네오위즈 검색TF로 출발한 첫눈은 지난해 6월 네오위즈로부터 분사해 설립된 검색 전문 기업으로, 키워드별 웹문서의 중복도를 기반으로 정보를 추출하는 고유의 랭킹 알고리즘을 적용한 검색서비스 ‘첫눈’을 시범 서비스하고 있다.
이번 인수 배경에 대해 인수 발표 직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최휘영 NHN 대표는 “네이버재팬을 통해 일본 내 검색 서비스를 시도한 적 있으나 과감하게 서비스를 시작하기에는 기반이 부족했다”며 “이번 첫눈 인수로 검색 엔진 플랫폼을 강화하고 우수한 기술 인력을 영입함으로써 해외 검색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것이 큰 의미”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해외 서비스 계획에 대해 최 대표는 “우선 아시아권 중에서도 일본이 타깃 시장”이라며 “첫눈과 협의 아래 서비스 준비를 서둘러 이르면 내년초 쯤 일본내 베타 서비스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NHN에 인수된 이후 검색 포털 ‘첫눈’의 행보에 대해 장병규 첫눈 사장은 “현재 양측이 협의 단계이지만 기본적으로 사이트 폐쇄에는 부정적”이라며 “그러나 이번 인수 계약의 핵심 목표가 NHN과의 해외 시장 진출이기 때문에 우선 첫눈 사이트는 구글 랩스처럼 도전적인 서비스를 실험해보는 사이트로 남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편 장병규 사장은 인수 이후 당분간 첫눈 대표직을 유지할 예정이며 NHN에서의 구체적인 역할 등에 대해서는 “NHN측과 논의중”이라고만 말했다.
김유경기자@전자신문, yukyung@